< 기본 구조 >
> 소스의 형식
스크립트 파일은 서식이 없는 단순한 텍스트 포맷이라 코드만 잘 입력해 넣으면 된다.
파이썬은 명시적인 블록을 사용하지 않으며 왼쪽을 공백으로 들여쓰기(Indent) 함으로써 구조를 만든다.
조건문이나 반복문처럼 여러 개의 문장이 블록을 구성하는 경우는 블록에 속한 구문을 안쪽으로 들여쓴다.
들여쓰기에 의해 아래쪽 문장이 조건이나 반복의 대상임을 표시하여 코드의 구조를 만든다.
문장의 끝은 개행에 의해 구분하며 한 줄에 하나의 명령만 작성한다.
물리적인 줄이 하나의 명령이므로 세미콜론 같은 특별한 기호를 붙이지 않는다.
세미콜론이 전혀 쓸모 없는 것은 아니며 한 줄에 두개의 명령을 작성하고 싶을 때 명령끼리 구분하는 역할을 한다.
파이썬의 명령어나 함수 등은 대부분 소문자로 되어 있어 반드시 소문자로 써야 한다.
코드에 주석을 달 때는 # 문자를 사용하며 # 이후 줄 끝까지 주석이다.
> 출력 (Print)
파이썬의 기본적인 출력문은 Print 명령이다.
# Function
print(*values: object, sep: str | None = ..., end: str | None = ...)
print(출력 내용 [, sep = 구분자] [, end = 끝 문자])
>>> print(3 + 4)
7
>>> value = 1234
>>> print(value)
1234
>>> print(value * 2)
2468
>>> 3 + 4
7
>>> value
1234
* value 변수에 정수 1234를 대입하고 value 변수를 출력한다.
# print
print(3 + 4)
4 * 5
a = 1
b = 2
print(a + b)
7
3
* 가운데 값은 무시된다.
# sep
>>> a = 12
>>> b = 34
>>> print(a, b)
12 34
>>> print(a, b, sep = ',')
12,34
>>> print(a, b, sep = '')
1234
* print 명령의 sep 인수에 원하는 구분자(separator)를 지정한다. (sep 인수의 default 값은 공백)
# printsep
s = '서울'
d = '대전'
g = '대구'
b = '부산'
print(s, b, g, b, sep = ' 찍고 ')
서울 찍고 대전 찍고 대구 찍고 부산
# print end
a = '강아지'
b = '고양이'
print(a)
print(b)
강아지
고양이
print(a, end = '')
print(b)
강아지고양이
* print 명령의 end 인수는 내용을 출력한 후 더 출력할 문자를 지정하는데 이 값이 개행 문자로 되어 있어 한번 호출할 때마다 자동 개행된다.
(end 인수의 default 값은 개행 코드)
> 입력
사용자로부터 값을 입력받을 때는 input 명령을 사용한다.
variable = input("Questions")
괄호 안에 질문 내용을 적어두면 이 문자열을 화면에 보여 주고 캐럿이 깜박거리며 입력을 대기한다.
사용자는 질문에 따라 적합한 정보를 입력한 후 Enter를 누른다.
input은 사용자가 입력한 값을 돌려주는데 이 값은 보통 변수로 대입받는다.
다음 코드는 사용자로부터 나이를 입력받는다.
>>> age = input("몇 살이세요?")
몇 살이세요? 29
>>> print(age)
29
* 나이를 질문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값을 age 변수에 대입받음.
** 입력받은 문자열을 정수로 바꾸려면 int() 함수를 호출한다.
변수 = int(input("질문 내용"))
# int input
price = input("가격을 입력하세요: ")
num = input("개수를 입력하세요: ")
sum = int(price) * int(num)
print("총액은", sum, "원입니다")
가격을 입력하세요: 100
개수를 입력하세요: 5
총액은 500 원입니다
< 변수 >
> 변수명
값을 기억하는 장치인 메모리는 컴퓨터 안에 수십억 개나 있다.
각 메모리의 위치는 0x385a1bc2 같은 16진수로 된 어려운 번지값으로 구분한다.
기묘하게 생긴 이 번지값을 사람이 일일이 기억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메모리에 이름을 붙인다.
** 메모리에 이름을 붙여 놓고 값을 저장하는 것을 변수 라고 한다.
변수는 용도에 맞게 자유롭게 이름을 붙이되 중복되어서는 안 된다.
- 키워드는 사용할 수 없다. 뿐만 아니라 내장 함수나 표준 모듈명도 변수명으로 쓰지 않는 것이 좋다.
- 모든 명칭은 대소문자를 구분한다.
- 알파벳, 언더바(_), 숫자로 구성된다. 공백이나 다른 기호는 사용할 수 없다.
- 첫 글자로 숫자는 쓸 수 없다.
- 파이썬은 유니코드를 지원하므로 한글이나 한자를 명칭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다.
> 변수 사용
파이썬의 변수는 별도의 타입을 지정하지 않는다.
타입은 변수에 저장되는 값의 형식을 의미하며 정수, 실수, 문자열 등의 종류가 있다.
타입의 개념은 있지만 선언에 의해 지정하는 것이 아니라 최초 대입되는 값에 의해 결정된다.
다음 코드는 score 변수를 생성하고 초기화한다.
>>> score = 98
>>> print(score)
98
score에 98이라는 값을 대입하는 즉시 해석기는 메모리의 적당한 위치에 이 변수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고 초기값인 98을 대입한다.
변수는 값을 보관하는 상자 같은 것이다.
>>> score = 100
>>> print(score)
100
>>> score = 55 # score 변수 재대입
>>> print(score)
55
* 변수는 변할 수 있는 값이어서 언제든지 다른 값으로 바꿀 수 있다.
>>> score = 'high'
>>> print(score)
high
* 변수는 정수값을 저장할 때는 정수형 변수이지만, 문자열을 대입하면 문자열 변수가 된다.
실행 중에 변수의 타입을 바꿀 수 있는 이런 특성을 동적 타입(Dynamic Typing)이라고 한다.
>>> a = 1234
>>> type(a)
<class 'int'>
>>> a = 'string'
>>> type(a)
<class 'str'>
* 변수의 현재 타입을 조사할 때는 type 명령을 사용한다.
파이썬의 모든 값은 객체여서 숫자나 문자열도 클래스의 일종이다.
1234는 int 클래스 소속이며, 'string' 문자열은 str 클래스 소속이다.
변수는 일단 만들어지면 계속 존재하며 값을 유지한다.
>>> a = 1234
>>> a
1234
>>> del a
>>> a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c:\Users\mnkyu\Desktop\pytest\python.py", line 7, in <module>
print(a)
NameError: name 'a' is not defined
* 이미 만들어 놓은 변수를 없애 버릴 때는 del 명령을 사용한다.
'Language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_05. Conditional Statement (0) | 2022.07.27 |
---|---|
Python_04. Operator (0) | 2022.07.27 |
Python_03. Type (0) | 2022.07.25 |
Python_ 01.Python (0) | 2022.07.25 |
How to install "Python" (0) | 2022.07.22 |